내 지자체 할인율·발행일 확인 → 앱 설치(또는 지류·카드형 구입) → 1인 월 한도 안에서 충전 → 제로페이/가맹점에서 결제 → 영수증·잔액 관리. 이번 인상은 연말까지 적용되며 지역·유형별로 다릅니다. 세부 조건은 각 지자체 앱/누리집에서 꼭 확인하세요.
무엇이, 언제, 얼마나 바뀌었나
정부는 2025년 9월 1일~연말까지 지역사랑상품권 할인율을 기존 5~10%에서 7~15%로 높였습니다. 특별재난지역(인구감소지역 해당 시)은 최대 20%까지 올라갑니다. 연말까지 지자체별 총 10조 원 규모로 발행되며, 소비 심리 회복과 지역경제 활력이 목표입니다. 자세한 정책 개요는 정책브리핑 기사에서 확인하세요.
어디서 어떻게 구매하나 (앱·지류·카드형)
지역사랑상품권은 모바일·카드·지류 3가지 유형입니다. 모바일/카드형은 전용 앱에서 계좌를 연결해 충전하고, 지류는 판매대행점에서 구매합니다. 범용 앱으로는 한국조폐공사의 ‘지역상품권 chak’이 있고, 일부 지자체는 전용 앱(예: 경남지역상품권)을 운영합니다.
- 앱 예시: 지역상품권 chak, 서울Pay+ ,경남지역상품권
- 상품권 목록/이름은 LAIIS 포털에서 지역별로 확인 가능: 지역사랑상품권 목록
내 지역 할인율·한도·발행 일정 확인법
핵심은 “지자체별 상이”하다는 점입니다. 동일 시·군·구라도 인상폭, 판매일, 1인 월 구매한도, 보유 한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. 2025년 지침에 따라 월 구매한도 최대 200만원까지 허용 범위가 열렸지만, 실제 적용치는 지자체가 자율 결정합니다. 공지는 각 지자체 앱/누리집 공지사항에서 확인하세요. 참고: 한도 상향 보도. 또한 특별재난지역은 기본 할인율 +5%p가 적용됩니다. 행안부 보도자료, KDI 정책해설 요약도 참고하세요.
어디에서 쓸 수 있나 (가맹점 찾기와 결제 방식)
사용처는 관내 제로페이 가맹 소상공인 및 지자체 조례상 허용 업종이며, 대형마트·백화점 등은 대체로 제외됩니다. 가맹점은
- 제로페이 공식 홈페이지나
- 공공데이터포털 ‘전국지역화폐가맹점 표준데이터’
- 에서 검색할 수 있습니다. 결제는 QR 결제(모바일) 또는 카드 단말로 진행되며, 앱에서 사용 내역·잔액 확인이 가능합니다. 제도 개요는 행안부 안내 페이지에서 확인: 지역사랑상품권 개요.
빨리 소진되는 이유와 실전 구매 전략
올해 **발행 물량(10조 원)**은 지역·유형별로 “오픈 즉시 매진” 현상을 만들 수 있습니다. 특히 추가 5%p가 붙는 특별재난지역과 15% 상단율 지역은 경쟁이 치열합니다. 전략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지자체 앱 알림 켜기(발행 공지·재충전 시점 캐치)
- 월 한도 안에서 분할 구매로 예산 소진 리스크 분산
- 주 사용 가맹점 근처 사용처 우선 확보(점포에 상품권 결제 가능 여부 직접 확인)
- 모바일·카드·지류 대체 채널 병행으로 실패 대비
- 정책 배경과 목표는 정책브리핑 기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자주 하는 실수와 주의사항 (환불·유효기간·업종 제한)
- 업종 제한: 사행산업, 대기업 계열 일부 점포 등은 제외되며 지자체 조례로 추가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.
- 유효기간·환불: 유효기간 경과 전 미사용분 환불·재충전 규정은 발행 지자체 규정을 따릅니다(수수료·절차 상이).
- 중복 할인 오해: 카드사·플랫폼 프로모션과 중복 불가 사례가 흔하니 고지사항을 필독하세요.
- 제도 공통 규정은 행안부 제도 안내에서 기본 틀을 확인하고, 구체 조건은 각 지자체 공지를 따르세요.
'국내 > 바우처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상생페이백 2025 (1) | 2025.09.10 |
---|---|
소상공인 10조 특별자금과 ‘금리경감 3종세트’ (1) | 2025.09.09 |
2025 으뜸효율 가전제품 환급 가이드 (0) | 2025.09.07 |